테니스

2025 프랑스 오픈 챔피언은?

토털 컨설턴트 2025. 5. 22. 17:09
반응형

프랑스 오픈 왕좌 : 전설 조코비치 -디펜딩 챔프 알카라즈 -세계 1위 신네르 3파전 그리고 차세대 주자들

시비옹테크, 102년 만에 여자 단식 4연패 달성 노려


스페인 마르카는 25일 프랑스 파리에서 개막하는 2025 프랑스오픈 테니스대회를 조명하며 이런 표현을 썼다. 올해 프랑스오픈은 '흙신' 라파엘 나달(39·스페인) 은퇴 이후 처음 열리는 대회다. 테니스 4대 메이저대회 중 유일하게 흙코트에서 열리는 프랑스오픈에서 나달은 14차례 우승했다. 대회 최다 기록이다. 그런 그가 지난해 11월 은퇴하면서 프랑스오픈 왕좌는 공석이 됐다. 차세대 '흙신'을 두고 '디펜딩 챔피언' 카를로스 알카라스(22·세계 2위·스페인), '살아있는 전설' 노바크 조코비치(38·6위·세르비아), '세계 1위' 얀니크 신네르(24·이탈리아)가 3자 대결을 벌일 전망이다.


알카라스는 가장 유력한 우승 후보다. 스페인 테니스 대표팀 선배인 나달을 자신의 롤모델이라고 밝혀왔던 알카라스는 흙코트에서 유독 강한 면모를 보인다. 그는 지난해 프랑스오픈 챔피언을 차지한 데 이어 올해도 흙코트에서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다. 프랑스오픈 전초전 격인 지난 4월 몬테카를로 마스터스와 지난 19일 BNL 이탈리아 인터내셔널을 연달아 제패했다. 특히 이탈리아 인터내셔널 결승에선 신네르를 꺾고 일찌감치 기선 제압에도 성공했다.

2003년생 알카라스는 20대 초반의 나이에 메이저 4승을 쌓으며 차세대 '테니스 황제'로 불리고 있다. 힘과 스피드에 테니스 센스까지 갖춘 덕분에 약점이 없다는 평가를 받는다. 전문가는 '알카라스가 레전드 반열에 오르는 건 시간 문제'라고 분석한다. 알카라스는 이탈리아 인터내셔널 우승 후 "프랑스오픈 우승만 생각하고 있다. 최근 연이은 우승을 자신감이 충만하다. 코트에 나설 때마다 '결승에 오르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결승에서 이기는 게 중요하다'는 말을 곱씹는다"고 각으롤 밝혔다.


조코비치는 이번 대회를 반등의 기회로 삼고 있다. 남자 부문 역대 메이저대회 최다 우승(24회) 기록을 보유한 조코비치는 라이벌 나달과 로저 페더러(44·은퇴·스위스)를 제치고 '역대 최고(GOAT)'에 가장 근접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최근 부진에 빠졌다.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메이저 우승은 없다. 2024 파리올림픽 금메달이 유일한 우승이다. 특히 지난 3월 마이애미오픈 결승 패배를 시작으로 4월 몬테카를로 마스터스와 마드리드오픈에서는 연달아 첫판에서 탈락하며 3연패를 기록했다.

부진이 거듭되자 조코비치는 프랑스오픈을 열흘 앞둔 지난 14일 앤디 머리(영국) 코치와 계약도 끝냈다. 조코비치의 '믿는 구석'은 경험이다. 그는 현역 선수 중 프랑스오픈 우승(3회) 경험이 가장 많다. 힘과 스피드는 떨어지지만, 노련한 운영으로 극복한다. 덕분에 우승 후보 알카라스와 상대 전적에서 5승3패로 앞선다. 조코비치는 영국 BBC 인터뷰에서 "테니스 인생에서 어려운 시기를 지나고 있지만, 극복하려고 노력 중이다. 강자들과 붙어야 할 프랑스오픈을 위해 몸을 만들고 있다. 아직 포기하지 않았다. 다시 우승할 것"이라고 말했다.


알카라스와 함께 '차세대 수퍼스타'로 꼽히는 신네르는 첫 프랑스오픈 우승을 노린다. 2001년생 신네르는 지난해 호주오픈과 US오픈에서 우승하며 프랑스오픈·윔블던을 석권한 알카라스와 2024년 4대 메이저를 양분했다. 올해 첫 메이저 대회 호주오픈에서는 신네르가 정상에 오르며 메이저 3승을 달성했다. 하지만 흙코트에 고전한 탓에 아직 프랑스오픈 정상엔 서지 못했다. 강서브가 강점이지만, 부족한 뒷심을 키워야 알카라스를 넘을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최근 흐름은 나쁘지 않다. 지난 2월 도핑 양성 반응으로 인해 출전 정지 3개월 징계를 마친 그는 복귀전이었던 이탈리아 인터내셔널 결승에서 패할 때까지 26연승을 달렸다. 결승에선 알카라스에 패했다. 신네르는 "복귀전에서 결승에 오른 건 긍정적이다. 알카르스에 패한 건 프랑스오픈을 앞두고 예방주사를 맞은 것"이라며 반등을 다짐했다.


여자 단식에서는 이가 시비옹테크 (5위·폴란드)가 4연패에 도전한다.

이 대회 여자 단식 4년 연속 우승은 1923년 쉬잔 렝글렌(프랑스) 이후 올해 시비옹테크가 달성하면 102년 만이 된다.

그러나 최근 5년 사이에 이 대회에서 네 번 우승한 시비옹테크가 지난해 도핑 관련 1개월 출전 정지 징계를 받은 이후 다소 내림세를 보인다는 점이 변수다.

시비옹테크는 9월 서울에서 열리는 여자프로테니스(WTA) 투어 코리아오픈에 출전할 예정이기도 하다.

세계 랭킹 1위 아리나 사발렌카(벨라루스)를 비롯해 코코 고프(2위·미국), 지난해 파리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정친원(8위·중국) 등이 시비옹테크의 독주에 제동을 걸 후보들이다.

올해 호주오픈에서 우승한 매디슨 키스(7위·미국)는 프랑스오픈에서는 2018년 4강이 가장 좋은 성적이다.

올해 대회 총상금은 5천635만유로, 남녀 단식 우승 상금은 255만유로(약 39억7천만원)다.

한국 선수는 남녀 단·복식 예선과 본선에 출전하지 못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