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KBO MVP 경쟁은 진행중
김도영 대세론, 40-40 달성 시 유력
카일 하트, 4명뿐인 투수 트리플 크라운 도전
빅터 레이예스, 201안타 넘는 최다안타 신기록이 나온다면?
![](https://blog.kakaocdn.net/dn/bU1F37/btsJnYdC6cj/vIP0iJT2rbR4qgPK9oPCd0/img.jpg)
이제 적게는 17경기, 많게는 23경기를 남겨놓은 2024 KBO리그.
MVP 경쟁은 점점 뜨거워진다. 후보들은 좁혀지고 있는 상황.
KIA 타이거즈 김도영, NC 다이노스 카일 하트, 롯데 자이언츠 빅터 레이예스 정도가 MVP를 노릴 수 있는 인물로 꼽힌다.
현재는 김도영 대세론이다. 시즌 출발부터 지금까지 KBO리그의 화제성 1위다. KIA의 1위를 이끌면서 흥행에도 큰 역할을 했다. 홈런도 치고 도루도 하는 '호타준족'의 사나이.
타율 3할4푼7리(3위), 166안타(4위), 35홈런(2위), 98타점(5위), 36도루(5위), 124득점(1위), 출루율 0.421(3위), 장타율 0.651(1위) 등 타격 8개 부문에 모두 5위 이내에 들어가는 엄청난 성적을 올리고 있다.
아쉬운 것은 타이틀이 약하다는 점. 득점과 장타율만 1위에 올랐을 뿐이다.
최연소 30(홈런)-30(클럽)을 기록한 김도영이 에릭 테임즈이후 국내 선수로 첫 40-40클럽을 달성한다면 MVP를 탈 수 있는 충분한 명분이 쌓인다. 타격왕이나 홈런왕을 차지한다면 역시 MVP에 성큼 다가설 수 있다.
시즌 내내 화제성이 뜨거웠던 터라 설령 타이틀이 없어도 충분히 수상이 가능하다. 관건은 2015년 테임즈 이후 9년만의 40-40 달성 여부가 될 전망이다. 당시 테임즈도 타격왕과 득점왕에는 올랐지만 넥센 박병호에 밀려 홈런, 타점 타이틀 수상에 실패했다. 하지만 리그 첫 40-40 달성 여파가 워낙 커 MVP에 오른 바 있다.
하트는 투수 트리플 크라운을 노린다. 12승2패 평균자책점 2.35, 157탈삼진을 기록 중인 하트는 다승만 원태인(삼성·13승)에 1승 뒤진 공동 2위에 올라있고 평균자책점과 탈삼진 1위를 달리고 있다. 최근 심한 감기몸살로 3주를 쉬었는데도 이 정도 성적을 올리고 있다.
승률 0.857로 승률 1위도 달리고 있어 시즌 막판까지 평균자책점과 탈삼진 1위를 유지하면서 다승왕까지 올라 4관왕에 도달한다면 김도영의 강력한 경쟁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역대 투수 트리플 크라운은 '국보' 선동열이 1986년에 처음 달성했고, 1989∼1991년 3년 연속 달성해 총 4번을 기록했다.
이후 2006년 한화 류현진과 2011년 KIA 윤석민, 그리고 지난해 NC의 에릭 페디 등 총 4명만 달성했던 대단한 기록이다.
레이예스는 2014년 서건창이 200안타를 돌파한 이후 144경기 체제에서 아무도 달성하지 못했던 200안타에 도전중이다.
8월 31일과 9월 1일 두산과의 잠실 2연전서 5개의 안타를 쳐 121경기서 170안타를 기록 중이다. 산술적으로 계산했을 때 202안타가 가능하다. KBO리그 역대 최다 안타인 서건창의 201안타를 넘어선다면 충분히 MVP 후보가 될 수 있다.
시즌 내내 보여준 김도영의 활약이 눈부시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김도영 대세론'이 압도적이다. 범접할 경쟁자가 없을 듯한 분위기.
하지만 하트가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하거나 레이예스가 최다안타 신기록을 작성한다면 구도가 달라질 수 있다.
KIA가 정규리그 우승에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는 가운데 나머지 순위는 여전히 안갯속이다.
치열한 순위 싸움만큼 MVP 경쟁도 막판 치열하게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야구 > KBO'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WBSC 프리미어12 ‘팀 코리아’ 예비 명단 60명 제출 (2) | 2024.09.12 |
---|---|
프리미어12 대비 대한민국 대표팀, 쿠바와 두 차례 평가전 (2) | 2024.09.10 |
현실로 다가온 KBO 관중 1천만명 시대 (0) | 2024.08.29 |
프로야구 사상 첫 900만 관중 돌파 (1) | 2024.08.28 |
신인 드래프트 전체 1순위 정우주 vs 정현우 (0) | 2024.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