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BOUT MOVIE ]
한국 영화 최초의 본격 첩보극 <공작>! 남과 북, 냉전의 최전선에서 펼쳐진 첩보전을 스크린으로 불러내다!
2차대전 종전 후 미국과 소련을 양대 축으로 한 동서 냉전은 1989년 베를린 장벽붕괴를 시작으로 소비에트 연방의 해체로 이어지는 90년대 초반에 종언을 고했다. 그리고 서구의 냉전시대는 걸작 스파이 영화들의 배경이 되었다. 그러나 한국은 같은 민족끼리 남과 북으로 분단된 지구상에서 유일한 냉전 국가임에도 본격 첩보 영화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또한 남으로 내려온 북의 공작원, 일명 남파 간첩이 소재가 된 적은 있었으나, 북으로 잠입한 남측의 스파이를 본격적으로 그린 영화 또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었다. <공작>은 실제 남과 북 사이 벌어졌던 첩보전의 실체를 처음으로 그리는 한국 영화다. 공작의 타임라인은 1993년부터 2005년까지 남북 관계가 북핵 이슈로 전쟁 직전의 긴장감으로 치달아 한반도가 세계의 화약고였던 때부터 남북정상회담 이후 화해 무드가 조성되는 시기까지를 아우른다. 대북 스파이 ‘흑금성’의 첩보전을 통해 남과 북 사이에 있었던 긴장감과 더불어 같은 민족이기에 오갈 수밖에 없었던 미묘한 교감들을 영화는 폭넓게 그려내고 있다.
가장 한국적인 현실을 영화적 세계로 펼친 윤종빈 감독. <공작>에서는 스파이 통한 ‘분단의 시대’ 그려내!
윤종빈 감독은 한국의 현재와 과거를 아우르는 사회적 소재에서 영화를 떠올렸다.
돌이켜 보면 윤종빈 감독의 데뷔작인 <용서받지 못한 자> 또한 분단된 한국의 현실에서 출발했다. 1953년 한국전쟁의 정전 협정은 종전이나 평화 협정이 아닌 휴전 협정으로, 엄밀하게 남한은 북한과 교전 상태. 그로 인해 한국은 모든 성인 남성이 의무적으로 군대를 가야 하는 징병제 국가가 되었다. 억압적인 군대 문화에 적응하지 못한 젊은이를 소재로 한 <용서받지 못한 자>는 한국 사회를 지배한 군대 문화에 대한 고발인 동시에 뛰어난 완성도로 주목 받았다. <비스티 보이즈>는 물질 만능주의 세상 속 호스트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현 사회를 그려냈고, <범죄와의 전쟁:나쁜놈들 전성시대>는 1980년대 사회상을 갱스터 영화로 그려냄으로써 대중의 공감과 사랑을 받았다. <군도:민란의 시대>는 19세기 조선을 배경으로 민초들의 이야기를 담아내며 호평 받았다.
<공작>에서는 모든 한국인에게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갈 수 없는 나라’로 남아있는 북한에 홀로 잠입했던 스파이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이야기를 이끈다. 그리고 일제 식민 통치에서 해방된 후, 한국 현대사의 기본 틀을 규정한 분단시대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하게 만든다. 남과 북 사이에 적국으로서 실재했던 긴장감과 같은 민족으로서 느껴지는 미묘한 감정을 실감나게 그려내며 분단 현실에 대해 다른 시선으로 생각해 볼 만한 질문을 던진다.
할리우드와는 다른 ‘한국형 첩보영화’의 탄생. 스파이의 본질은 어쩌면 ‘액션 히어로’가 아닌 ‘천의 얼굴을 가진 연기자’
<공작>은 최근 첩보영화의 주류로 자리 잡은 액션 히어로 문법을 과감하게 벗어던진 영화다. 현란한 액션, 숨가쁜 추격전, 화려한 신무기들의 향연 등이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첩보 영화의 시그니처들. 여기에 더해 주인공과 대척점에 있는 ‘악’을 온갖 난관을 뚫고 응징하는 것이 전형적인 첩보물의 문법이라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공작>의 첩보전은 치열한 ‘심리전’을 바탕으로 한다. 그래서 <공작>에 등장하는 첩보원은 액션 히어로가 아니라 ‘심리전의 대가’이자 ‘천의 얼굴을 가진 연기자’들이다. 영화에서는 눈빛 하나, 숨소리 하나에서도 상대의 정체를 파악하기 위한 북측의 집요한 의심과 이를 피해가기 위한 흑금성의 페이크가 쉼 없이 교차한다.
또한 <공작>은 ‘악의 응징’이라는 단일목표를 향해 달려가지 않는다. 적국이면서도 같은 민족이라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특수성은 <공작>에도 그대로 녹아 들어가, 누가 우리 편이고 누가 적인지, 피아의 명확한 식별을 끊임없이 교란시킨다.
어쩌면 <공작>은 한국영화 씬에서만 상상 가능한 새로운 스파이의 전형을 보여주는 최초의 ‘한국형 첩보영화’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황정민, 이성민, 조진웅, 주지훈. 오늘의 한국 영화를 만들어가는 배우들. 적으로 대립하고, 민족으로 공존하는 남과 북의 역동적 앙상블을 그리다!
<공작>은 황정민, 이성민, 조진웅, 주지훈 등 개성과 연기력을 겸비한 대한민국 대표 배우들이 총출동해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곡성>과 <아수라> <신세계> <부당거래> <달콤한 인생> 등 한국 장르 영화에서 잊을 수 없는 얼굴이었던 배우 황정민이 ‘북으로 간 스파이’인 ‘흑금성’ 역을 맡았다. 북한의 최고위층 인물 ‘리명운’ 역은 영화와 드라마를 막론하고 그가 연기하는 순간 관객이 캐릭터의 존재 이유를 믿어 버리게 되는 배우 이성민이 맡았다. 분단이 짙게 그어놓은 ‘적’이라는 건널 수 없는 남과 북 사이의 경계를 넘는 두 사람의 관계 변화는 예상치 못 했던 변화무상한 케미스트리로 관객의 시선을 끝까지 장악한다. 남한의 안기부 실장으로 공작전의 총책을 연기한 조진웅은 <아가씨>와 <끝까지 간다> <보안관> 등 그의 기존의 대표작과는 또 다른 예상치 못했던 모습으로 연기 변신을 시도했다. 그리고 북의 보위부 요원을 연기한 <신과함께>의 주지훈은 <아수라>에서 상하 관계로 실감나는 악역을 함께 구축했던 황정민과 남과 북으로 갈라져 견제하는 관계로 재회한다. 남한과 북한, 이념적인 대립, 생존을 위협하는 전쟁의 가능성을 내포한 적대국가. 적과 민족을 넘나드는 입체적인 <공작>의 드라마는 연기파 배우들의 상호작용으로 현실감을 더한다.
[ HOT ISSUE ]
제 71회 칸 국제영화제 ‘미드나잇 스크리닝’ 공식 초청! 할리우드 리포터, 2018년 칸 BEST 20 선정 및
“말(words)은 총보다 강력하다!” 등 해외 유력 매체들의 쏟아지는 호평! ‘한국형 첩보영화’의 진수 보여주며 ‘칸의 별’ 되다!
제 71회 칸 국제영화제 비경쟁 부문 ‘미드나잇 스크리닝’에 초청되며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공작>. 윤종빈 감독은 지난 2006년 <용서받지 못한 자>가 제 59회 칸 국제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에 초청된 이후 두 번째로 칸에 초청되는 영광을 안았다. 북으로 간 스파이 ‘흑금성’ 역을 맡은 황정민은 <곡성>(비경쟁 부문)으로, 남한의 안기부 실장 ‘최학성’ 역으로 분한 조진웅은 <아가씨>(경쟁 부문), <끝까지 간다>(감독 주간 부문)로 초청받은 바 있다. 3천 여명의 관객들로 가득 찬 뤼미에르 대극장에서 전 세계 최초로 그 실체를 드러낸 <공작>은 뜨거운 기립박수를 받으며 성공적인 데뷔 무대를 마쳤다.
칸 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티에리 프리모는 “<공작>은 웰메이드 영화다. 강렬하면서도 대단했다”고 극찬하며 윤종빈 감독에게 “다음 번은 경쟁부문이다”라며 최고의 찬사를 건넸다. 우디네 극동영화제 집행위원장 사브리나 바라세티는 “최근 남북의 두 국가 원수들이 만난 시점에서 다시 냉전을 뒤돌아보게 하는 매력적인 설정의 영화이다. 두 명의 훌륭한 배우, 황정민과 이성민은 남북한(“the korea”)을 위한 환상적 연기를 선보인다”며, 냉전의 최전선에서 펼쳐졌던 첩보전을 스크린으로 완벽하게 불러낸 윤종빈 감독과 적과 한 민족을 넘나드는 급진적인 관계 변화를 그린 황정민과 이성민에 대한 호평을 쏟아냈다. 미국의 할리우드 리포터는 “스타일리시하고 긴장감 넘치는 스릴러로 가득 차 있다. 배우들의 뛰어난 열연으로 완성된 감동적인 캐릭터가 큰 울림을 전한다”며 개성 넘치는 배우들이 완성한 입체적인 캐릭터에 대한 찬사 또한 아끼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비평가들이 선정한 2018년 제 71회 칸 국제영화제 최고의 영화 20작품에 비경쟁 부문 중 유일하게 <공작>을 꼽았다. 영국의 스크린 인터내셔널은 “프랜차이즈 영화의 화법은 아니지만, 영리하고 마음을 사로잡는 스파이 스릴러 장르이다. <공작>에서 말(words)은 총보다 더 강력하게 타격을 가한다. 한 순간도 방심할 수 없었다”라며 기존 할리우드 첩보 영화의 문법을 벗어나 치열한 심리전을 통해, 장르적 재미를 담아냈음을 전했다. ‘한국형 첩보영화’의 면면을 내세우며 전 세계를 사로잡은 <공작>은 현재까지도 유일한 분단 국가에 살고 있는 한국 관객들에게 또 다른 영화적 체험을 선사한다.